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알고리즘
- stdin vs input
- firebase
- CSS
- TS
- Android
- 타입스크립트
- 프론트엔드
- 파이어베이스
- Python
- javascript
- 최적화
- k for k
- 리액트
- react
- 스택
- 백준 스택 시간초과 python
- 백준 스택
- typescript
- 자바스크립트
- 안드로이드
- 코딩테스트
- C++
- NPM
- JS
- HTML
- nodejs
- kotlin
- next Link
- 파이썬
- Today
- Total
목록코딩테스트 알고리즘 (41)
sooleeandtomas
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74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이 문제의 H-Index는 "h-index를 아느냐?" 를 확인하는 문제이다. h index는 학자들의 스펙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의 물리학자 호르헤 E.허쉬가 주창한 공식이다. http://slownews.kr/21465 학자들의 스펙, h-인덱스를 아시나요? - 슬로우뉴스 무한경쟁사회에서 ‘경쟁자 줄 세우기’는 참 피해가기 힘든 ‘필요악’ 중 하나입니다. 줄 세우기가 참 많은 문제를 안고 있음에..

프로그래머스 N개의 최소공배수 나의 풀이 최대곱값 = 최대값을 찾아 +1 씩 곱해줌. 배열을 순회하며 모든 원소가 최대곱값 % i == 0 인 경우를 찾는다. 그때의 최대곱값이 최소공배수. def solution(arr): answer = 0 n = 1 while True: flag = True maxMulti = max(arr) * n for i in list(arr): if maxMulti % i != 0: flag = False if flag == False: n += 1 continue else: answer = maxMulti break return answer 다른사람의 풀이 다른풀이를 보니 gcd 함수를 적용했다. def gcd(a, b): if b == 0: return a return g..

코드업 2016번 문제 천단위 구분기호 아래의 코드로 입력하게 되면 에러가난다. 쓰레기 문자열이 들어가서 그런 것이라고 한다. import sys unit = sys.stdin.readline().strip() num = sys.stdin.readline().strip() nums = [] for i in range(int(unit)-1, -1, -1): nums.append(num[i]) if (i != 0 and i % 3 == 0): nums.append(',') print(''.join(nums)) 아래 다른 사람의 코드에선 에러가 나지 않는다. 개행이 포함되input() 때문인걸까 sys.stdin을 input()으로 바꾸어봤지만 여전했다. 흠.. 찝찝하지만 패스 참고 코드 n = int(inp..

프로그래머스 lv.2 멀리뛰기 (연습문제) 피보나치 수열 모르는 사람은 정.말 풀기 힘들 것 같다 💢 이 문제는 피보나치 수열을 알아야 풀 수 있다. 문제에서 피보나치 수열이라는 힌트를 얻을 수 있다. [힌트1] 1칸 또는 2칸 [힌트2] 도달하는 방법이 몇 가지인지 알아내... 피보나치 수란? 수학에서 피보나치 수(영어: Fibonacci numbers)는 첫째 및 둘째 항이 1이며 그 뒤의 모든 항은 바로 앞 두 항의 합인 수열이다. 문제의 예시에 나오는 경우의 수들을 보면 피보나치 수열이 나온다. 이런 여러 힌트 조합을 통해 이 문제는 단순히 내가 "피보나치 수열"을 알고있는지를 확인하는 문제이다. 피보나치 수열을 알고있다면, 정말 그대로 구현해주면 된다. 참고 코드1 def solution(n):..

백준 1874 스택 수열 문제를 이해하는데만 2시간이 걸린 것 같다. 내 생각엔 저 문제만으로는 절.대.로 이해할 수 없다. 💢 아래 글들과 내용들을 참고해야 이해할 수 있다. https://hongcoding.tistory.com/39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byCxMbgzEVM 문제 설명 이 문제는 스택의 FILO의 개념을 익히는데 도움을 주는 문제이다. 주어진 인풋값과 동일해질때까지 스택에 숫자를 append해가고, 동일해진다면 스택에 쌓인 수를 pop 해준다. 만약 인풋값이 스택에서 pop할 수 있는 마지막 숫자가 아니라면 에러를 뿜게된다. ! pop(0)안되죠~ 무조건 맨 마지막 원소를 pop해야한다. 풀이 설명 준비물 stack = [] answer = [] ..

좀 쉬운 것 같아서 하나 더 풀기로 했다. 근데 이것도 거의 10분 컷이었다. 완전 쉬움 아까 살짝 맛본 class를 사용해보았다. import sys class stack: def __init__(self): self.L = [] def push(self, X): self.L.append(X) def pop(self): if len(self.L) == 0: return -1 else: self.L.pop() def sum(self): return sum(self.L) a = stack() N = int(sys.stdin.readline()) for i in range(N): L = list(map(str, sys.stdin.readline().strip().split())) if L[0] == "0":..